1. 공부심리와 대처법
1-1. 보상심리의 이해
- 집중 후 잠깐 쉬어도 되는 상황이 올 수 있음
- 쉬어간 시간에 휴식 취하면, 집중력이 떨어지고 다시 집중하기 어려워짐
- (중요) 장기적으로 보상심리로 인해 공부 의욕이 떨어질 수 있음
- 보상심리를 억누르면 오히려 역효과가 날 수 있음
- 보상심리를 잘 관리하고, 공부 리듬을 유지하면서 휴식을 취하는 방법을 알려줌
1-2. 보상심리 관리
- 일정 시간 집중 후, 잠깐 휴식을 취하면 공부에 집중하기 쉬워짐
- (중요) 보상심리를 철저하고 똑똑하게 관리해야 함
- 잠깐 휴식을 취할 때, 적절한 시간 동안 휴식을 취하도록 타이머를 설정함
- 휴대폰을 멀리 두면 아침을 더 상쾌하게 맞이할 수 있음
- 보상심리를 억누르기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현명함
1-3. 보상심리 활용
- 보상심리를 활용하여, 목표 달성 후 짧은 보상을 줌으로써 지속적인 공부 의욕을 유발함
- (중요) 구체적인 목표 달성과 보상을 통해, 꾸준하고 효과적인 공부가 가능함
- 버킷리스트를 통해, 여행이나 유튜브 시청과 같은 구체적인 일들을 기록함
- (중요) 공부를 하면서도, 여행이나 유튜브 시청과 같은 구체적인 일들을 기록해두면 도움이 됨
화자 1
00:00
오늘 공부 정말 열심히 했으니까 잠깐만 쉬자 이렇게 했다가 그 잠깐이 1시간 2시간 훌쩍 길어져 가지고 결국 하루를 날려버리는 경험 있으신가요? 분명 보상 차원에서 잠깐 쉬어주려고 하는 건데 어느새 공부 리듬이 완전히 망가져 가지고 자책감에 빠지신 적 누구나 한 번쯤은 겪어보셨을 것 같습니다. 오늘 영상 끝까지 보시면은 바로 그 보상 심리 이 보상 심리를 똑똑하게 관리하는 방법과 오히려 공부 의욕을 높이는 노하우까지 전부 얻어 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자 열심히 공부하다 보면은 이 정도면 잠깐 쉬어도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그 잠깐의 휴식으로 유튜브나 sns를 열었다가 어느새 삼십 분 한 시간 두 시간 이렇게 훌쩍 지나가 버린 경험 정말 많으실 텐데요. 자 적절한 휴식은 당연히 필요한데 더 큰 문제는요 이러한 지나친 휴식 뒤에 찾아오는 자책감입니다.
화자 1
00:57
아 괜히 왔다 너무 많이 쉬어버렸다 벌써 시간이 이렇게 됐네 하고는 마음이 무거워지니까 다시 공부에 매달리기도 쉽지가 않겠죠. 되고 반대로 많이 쉬었으니까 열심히 달려야겠다. 새벽까지 해야겠다. 잠주리고 해야겠다. 이런 식으로 열심히 달리면 또 오버페이스가 돼 가지고 다시 슬럼프로 빠지는 이런 악순환에 빠질 수도 있습니다. 영상 보시는 제 채널 구독자분들 정말 열심히 공부하고 계실 거예요. 뭐라고 생각되는데요. 이런 보상심리 당연히 될 수 있어요. 저도 마찬가지예요. 저도 일 열심히 하고 컨설팅도 열심히 하고 강의도 열심히 찍고 이래 가지고 오늘 하루 내가 열심히 살았다. 이러면은 이 보상심리가 자연스럽게 발생을 하거든요. 그래서 저도 마찬가지로 인간인지라 저도 자기 전에 핸드폰을 하거든요. 주로 유튜브를 보는데 야 이 정도 열심히 했으니까 더 봐야지 이러다가 새벽이 되고 눈이 나도 모르게 말똥말똥해지고, 그러다가 이제는 꺼야지 라고 했을 때 잠들기는 좀 어렵고 이런 상황 참 많이 발생하는데요. 이 보상심리 자체를 나쁜 것으로만 보고 억누르면 오히려 더 큰 역효과가 날 수 있습니다.
화자 1
01:56
이 보상심리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그리고 공부 리듬은 무너지지 않으면서 어떻게 충분히 휴식을 취할 수 있는지 이 해법을 말씀드리려고 하는데요. 자 일단은 아시다시피 휴식 반드시 필요합니다. 우리 몸과 뇌에게도 적절한 휴식과 멈춤 재충전 이런 것들이 필요합니다. 일정 시간 집중 후에 잠깐의 달콤한 휴식을 취하면 오히려 공부에 집중하기가 더 쉬워지겠죠. 자 그렇기 때문에 보상심리를 우리는 철저하고 똑똑하게 관리를 해야 되는데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방법 중에 하나는 내가 지치기 전에 미리 쉬어주는 겁니다. 공부를 쭉 하다가 어느 정도 임계점을 넘겨버리면 조금 회복 불가능하다고 될까 그러니까 어느 임계점을 넘겨버리면은 공부는 열심히 했지만은 그 뒤에 쉬는 시간이 훨씬 더 많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지치기 전에 내가 미리 쉬어주는 거예요.
화자 1
02:42
선제적으로 예를 들면은 15분 정도 집중해서 공부를 한 다음에 1~2분 정도 가벼운 스트레칭을 하거나 그냥 눈을 잠깐 감고 뇌를 리셋하거나 이렇게 짧고 자주 쉬는 사이클을 만들어주면은 다시 공부를 시작할 때 그렇게 부담도 없고 머리도 맑아지기 때문에 훨씬 집중하기가 쉬워집니다. 그 다음에 말씀드리고 싶은 거는 내가 쉬기로 했으면은 그 쉬는 시간을 어떻게 보면 철저히 관리를 해줘야 되는데 저 같은 경우에는 어떻게 수험생을 보내냐면은 딱 쉬기 시작할 때 10분에서 15분 정도 타이머를 맞춰놨어요. 물론 10분에서 15분 타이머를 맞춰놓고 알람이 열린 다음에 바로 공부에 집중하기는 어렵겠지만, 그래도 일단 나한테 말 그대로 알람 내가 알고 있어야 한다는 거예요. 지금 내가 10분이 지났구나 10분이 지났구나 이 사실만으로도 내가 깊게 딥하게 휴식을 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유튜브나 인스타 릴스 보시면은 한 편만 볼 거야.
화자 1
03:33
라고 시작해도 계속 넘기고 넘기고 넘기고 자동 재생되고 다음 영상 되고 다음 릴스 보고 이렇게 되면은 나도 모르게 금세 시간이 지나가 버리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미리 쉬기 전에 10분에서 15분 정도 타이머를 맞춰놔라 그래서 저 같은 경우는 15분 뒤에 알람이 울리면 한 5분 정도만 좀 더 하고 나한테 주는 보너스 같은 시간 이렇게 생각하고 분 정도까지는 쉬웠던 것 같아요. 그리고 내가 이런 타이머로도 안 된다. 내가 유튜브나 인스타 넷플릭스 이런 거 푹 빠지면 내가 아예 안 된다. 그러면 아예 휴대폰을 2g 폰으로 바꾸시거나 앱 잠금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아침에 일어날 때 휴대폰이 근처에 있기 때문에 일어나기 전에 휴대폰 보면서 인스타 보고 유튜브 보고 이러면 또 빈둥빈둥 거리다 일어나시죠. 이때도 마찬가지 자기 직전에 핸드폰을 멀리 던져 놓으세요. 그러면은 조금이나마 아침을 좀 더 상쾌하게 맞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화자 1
04:33
자 그다음으로, 말씀드리고 싶은 거는 이 보상 심리를 아예 억누르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활용해 줄 수가 있는데요. 계속 참기만 하면 어느 순간 폭발하듯이 그냥 쉬어버리거나 폭식이나 폭음 다이어트가 굉장히 힘들잖아요. 다이어트가 왜 힘들어요. 참고 참고 억누르다가 폭식하면 또 허사로 돼버리고 이렇게 되잖아요. 그렇기 때문에 차라리 보상심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더 현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내가 문제집 한 단원을 끝내면은 내가 좋아하는 디저트 먹겠다라든가 내가 한 시간 집중을 하면 15분 동안 유튜브 내가 보고 싶었던 영상 한두 편을 보겠다. 이런 식으로 구체적인 조건을 거는 거예요. 목표를 분명하게 세운 다음에 목표를 달성했을 때만 짧은 보상을 준다는 거예요. 억누르고 절제하고 억제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상황 보상을 해 준다는 거예요.
화자 1
05:21
나한테 단 이때 중요한 거 매우 구체적인 목표 달성 그리고 매우 구체적인 보상 그 보상은 적절하게 짧은 정도로만 이렇게 규칙을 미리 세우고 나한테 보상을 준다면 오히려 지속적으로 꾸준하게 공부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해 줄 수 있습니다. 자 그리고 또 한 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거는 자 중간중간 유튜브 sns 하는 거 할 수 있죠. 하지만 자기 수험생들 단순히 sns나 유튜브 하는 걸로 내 불만이나 내 욕구가 해소되는 건 아니거든요. 예를 들면 여행 가고 싶은 것 그리고 내가 좀 시간 여유 있을 때 하고 싶은 것들 그런 게 있을 거잖아요. 근데 또 현실적으로는 내가 그걸 할 수가 없는 상황인 거고, 그러니까 지금 힘든 거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시험 끝난 뒤에 하고 싶은 일들을 미리 버킷리스트 형태로 작성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저 같은 경우도요 하고 싶은 게 계속 계속 떠올랐거든요. 머릿속에 공부를 하면서 그럴 때마다 버킷리스트만 적는 메모장이 있었어요. 거기에다가 계속 적었어요. 핸드폰 메모에다가 이 버킷리스트를 적을 때 여행을 가고 싶다.
화자 1
06:19
이렇게 추상적으로 적는 게 아니라 누구와 언제 어디를 어떻게 무엇을 할 건지까지 구체적으로 한번 적어보세요. 이렇게 미래에 하고 싶은 일들을 진지하고 구체적으로 계획해 보는 것만으로도 내 욕구가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고 관리가 될 수 있습니다. 또 긍정적으로는 가끔씩 버킷리스트를 보면서 시험 이걸 꼭 해봐야지 라고 자극을 받고 동기부여가 돼서 더 열심히 공부할 수 있는 그런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습니다. 결국 이 모든 방법들의 핵심은 집중과 휴식의 균형을 잘 잡고 그 과정에서 보상심리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입니다. 무작정 시간을 많이 투자하기만 하면 금방 지치고 무작정 쉬기만 하면 당연히 공부도 다시 하기 싫어지고 진도도 밀리고 그렇기 때문에 중요한 거는 짧고 강도 높게 공부한 다음에 짧고 달콤하게 쉬는 것이고. 때로는 작은 보상을 통해서 내 의욕과 동기를 북돋는 과정을 반복해 나간다는 겁니다.
화자 1
07:13
이런 사이클이 자연스럽게 자리 잡게 되면 공부를 오래 지속할 수 있으면서도 높은 성과를 낼 수 있고 또 점차 쌓여가는 성실감 덕분에 내가 지금 올바르게 잘 공부하고 있구나 라는 자신감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보상심리를 적절하게 활용한다면, 수험생활을 완주할 수 있는 강력한 원동력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영상이 여러분들이 꾸준하게 공부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됐으면 정말 좋겠고요. 이번에 리뉴얼한 미친요일 공부법 책 그리고 여러분들과 직접적으로 만날 수 있는 큐토리얼 공부법 프로그램들 다양하게 운영 중에 있으니까요? 관심 있으신 분들은 고정 댓글이나 영상 더보기 영상 설명 참고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꾸준히 성장하셔서 합격의 길로 올바르게 나아가기를 늘 응원하겠습니다. 이상 손민규 변리사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영상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믿고 따라오세요. (ft. 잡도해 OT) (0) | 2025.02.15 |
---|---|
가족한테도 안 알려준 회독의 비밀..이거 알면 공무원시험 떨어지기가 더 빡셉니다..(10시간 공부 이딴얘기 아님) (0) | 2025.02.15 |
"선생님, 국어 100점 맞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0) | 2025.02.14 |
문해력 높이는 '독서의 기술' (0) | 2025.02.14 |
'뇌'만 30년 동안 연구했습니다. 공부 속도가 느리다면 이게 답입니다 (박문호 박사 3부) (0) | 2025.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