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필기 2025. 3. 13. 09:03
728x90
반응형

https://youtu.be/dCjAy2G81SE

1. 조선 전기 성리학

1-1. 사회와 성리학의 발달
- 조선 전기 사회와 성리학 발달의 시작을 알면 됨
- 큰 주제를 먼저 읽어주고, 중간 주제를 고려하며 접근해야 함
- 외우기보다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기억력 향상에 도움이 됨
- (중요) 사회 제도와 법률 제도를 숙지하면, 그 안의 궁금증을 흡수하는 능력도 향상됨
-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신분 구조를 알고, 큰 틀을 보는 연습을 해야 함

1-2. 신분 구조
- 양반, 중인, 상민, 천민의 네 가지 신분 구조를 알고, 그 내부를 이해해야 함
- 조선의 신분 제도를 외우기보다 눈으로 읽어보고, 중간 주제를 궁금해하며 접근해야 함
- 양반은 천인에 해당, 중인은 양반과 달리 정계 지도자나 관리층에 해당함
- 상민은 하층민을, 천민은 잠재적 노동자나 무역업자 등을 의미함
- 재산 상속에서 남녀 평등하게 균분하고, 여성의 지위를 조금 높였음

1-3. 사회 제도와 법률 제도
- 사회 제도로는 민생을 안정시키고 의료 시설을 확충하는 등 다양한 정책이 있었음
- 법률 제도로는 민본설과 양첩설이 대립하면서 법의 전문가층이 권력을 잡음
- 양첩설은 조선 후기부터 시작되어 영조의학설과 대립하며 법의 핵심을 이룸
- 법조의학설은 정부의 헌병통치와 대외동맹을 위한 황제의 정신으로 이어짐
- (중요) 양첩설은 하층민의 입장에서 법을 지키고 관리하는 것이 정의라고 주장함

2. 조선 전기 사회와 학문

2-1. 서원과 향약의 역할
- 서원은 주세붕이 세운 학원으로 사림의 여론 형성에 기여함
- 향약은 지방 사림의 농민 지배를 강화하고 사회 풍속을 교화하는 기구였음
- 향약은 일조를 통해 사회 질서 유지와 풍속 교화에 기여함
- (중요) 사림은 성리학을 바탕으로 사회적 실천 노력을 함
- 성리학은 이황과 이이에 의해 발달함

2-2. 조선 전기 신분 구조와 가족 제도
- 조선 전기 신분 구조에서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짐
- 사회 시책과 의료 시설 등 민생 안정과 법률 제도에 변화가 생김
- 서원과 향약은 각각 사회 질서 유지와 농민 지배 강화에 기여함
- (중요) 성리학은 조선 전기 사회의 핵심 학문이었음

2-3. 공부 방법과 복습의 중요성
- 공부를 할 때는 큰 틀을 보며 전체적인 이해를 먼저 하고 작은 틀을 훑으며 진행함
- 공부 후에는 3시간 뒤에 복습을 통해 내용을 절반 정도 잊어버리지 않도록 함
- 복습을 하면서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함
- 복습은 전체 공부의 30분에서 4분 정도를 차지해야 함
- 복습을 통해 중요한 내용을 장기적으로 기억할 수 있음

00:00
자 오늘은 제가 어떤 공부 애던지 간에 이 암기법은 여러분들 꼭 숙지를 하고 계셔야 되고 그리고 모든 공부에 이 암기법은 여러분들한테 큰 날개를 달아드릴 수 있기 때문에 오늘 영상 끝까지 또 시청을 잘 해주시구요. 암기법이라고 하는 거를 제가 전에 말씀을 드린 적이 있는데, 이 암기는 그냥 무작정 외우는 게 아니에요. 수동적으로 외우다 보면 끝이 없고 우리가 책을 지배를 할 수가 있어야 되는데 책의 지배를 당하기 때문에 그런 공부가 전혀 되지가 않습니다. 저도 물론 처음부터 공부를 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제가 스스로 터득을 하면서 공부 방법을 실천을 하고 실력을 향상시킨 케이스이기 때문에 제가 처음부터 머리가 좋았으면 여러분들께 이런 영상을 찍을 필요도 없죠 왜냐하면, 그런 머리가 너무 좋은 사람들은 이렇게 어떻게 공부를 해야 되는지 이런 것들을 알 수가 없어요. 그래서 저는 처음부터 공부를 잘한 케이스가 아니었다 고거를 미리 말씀을 드리고 저도 암기를 굉장히 못 했는데 의학 공부를 하다 보면은 너무너무 터무니없이 많은 양들을 암기를 해야 돼요.

00:53
이해고 뭐고 간에 무조건 암기를 다 해야 되는 케이스들이 많은데 그렇게 하다 보니까 제가 가지고 있는 그런 암기법을 통해서 훨씬 더 능률적으로 공부를 좀 할 수가 있었고, 지금도 공부하는 과정에서도 이러한 암기법들이 굉장히 많이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자 제가 오늘 가지고 온 책은 국사입니다. 큰 주제를 여러분들이 잘 보셔야 돼요. 처음에 이런 이제 책을 보게 되면은 이렇게 방대한 양들을 여러분들이 마주치게 됩니다. 그래서 이거를 어떻게 공부를 다 해야 되나 되게 막막할 때가 많은데 가장 중요한 거는 처음에 주제를 일단 노려보셔야 돼요. 적어도 한 30초 이상은 노려보셔야 돼요. 자 조선 전기의 사회와 성리학의 발달이라고 돼 있죠. 이 주제를 보시고 여러분들이 어떤 생각을 해야 되냐 오늘 내가 공부를 할려고 하는 이 주제가 조선 전기에 어떤 사회가 있었고, 그리고 성리학이라고 하는 게 발달된 사회였구나 그래서 아마 문제가 아마 이렇게 나올 수도 있어요.

01:48
성리학의 발달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언제인가 조선 후기인지 중기인지 전기인지 근데 큰 제목에 다 답이 나와 있잖아요. 조선 전기 사회에 성리학이 발달하기 시작했구나 이거를 여러분들이 아셔야 돼요. 그냥 이렇게 여러분들이 읽는 게 아니에요. 큰 주제를 일단 한번 적어도 10초 이상 노려봅니다. 그리고 두 번째로, 큰 주제가 있죠. 여기에 보면은 조선의 신분 구조라고 하는 게 두 번째로, 큰 주제입니다. 가족 제도고 세 번째는 사회 시책과 법률 제도 그리고 네 번째로는 서원과 향약 그리고 다섯 번째는 성리학의 발달 이렇게 이제 큰 주제가 있는 거예요. 자 그러면은 이 큰 주제 그리고 중간 주제를 여러분들이 조금 노려보세요. 바로 이렇게 읽는 게 아니에요.

02:25
조선의 신분 구조 그리고 아 가족 제도 사회 시책과 법률 제도 서원과 향약 그리고 성리학이 발달 조선 전기에 신분 구조가 어땠는지 가족 제도는 어땠는지 사회 시책과 법률 제도는 지금과 비교해서 어땠는지 서원과 향약이라고 하는 게 있었는데, 이런 것들이 또 있었구나 그리고 성리학들이 발달되기 시작했던 시기구나 이거를 이제 여러분들이 숙지를 하고 가셔야 된다는 거죠. 그냥 무작정 책을 읽게 되면은 아무런 내용도 우리는 받아들일 수가 없습니다. 우리가 잠깐 이렇게 1분 정도 동안 주제들만 노려봤는데도 아마 큰 개념이 생길 거예요. 좀 궁금해지지 않나요? 이 정도 이제 여러분들이 생각을 하시면 저는 좀 궁금해지거든요. 그러면은 훨씬 더 잘 외워져요 조선의 신분 구조를 한번 가볼게요 조선의 신분 구조에는 옛날에 양반 양반 이렇게 했잖아요.

03:17
아 양천제라고 하는 게 있었고, 반상제라고 하는 게 있었는데, 양천제는 양반과 그리고 천민을 나눈 이제 신분 제도구나 반상제는 지배층과 피지배층 지배를 하는 사람과 지배를 당하는 사람을 나눈 제도구나 이거를 핵심으로 판단하시면 돼요. 항상 그냥 쭉 이렇게 읽는 게 아니에요. 큰 구조를 가지고 여러분들이 그 내용들을 궁금해하면서 그래서 이것들을 공부를 하셔야 되는 거예요. 그래야지 체계화된 구조가 머릿속으로 들어가고 그 구조 안에서 여러분들이 궁금증이 생기고 그 궁금증을 통해서 흡수하는 능력들이 굉장히 좋아지기 때문에 항상 우리가 와이 궁금해하는 그런 모습들을 가지고 공부를 하셔야 되는 거예요. 그래서 이게 너무너무 중요해요. 제가 이 암기법을 그냥 저는 그냥 뭐 세계사를 볼 때도 항상 그냥 막 읽었어요. 근데 읽으니까 무슨 말인지 하나도 모르겠는 거예요.

04:12
근데 이런 큰 틀을 가지고 호기심을 가지고 접근했을 때는 기억력이 훨씬 더 오래가고 좋아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그런 큰 주제들을 한번 잘 체킹을 하시는 거 잊지 마시고 자 신분 구조에는 그럼 어떻게 있었을까? 양반과 중인과 상민과 천민 이 네 가지의 신분 구조가 있었네 이 안쪽에 있는 너무너무 자세하게 나와있는 이런 것들은 지금 당장 보실 필요가 없는 거예요. 저희는 벌써 1번 조선의 신분 구조를 다 끝냈어요. 양천 제도 그리고 반상제도 이 두 가지를 우리가 가지고 있다. 신분 구조에는 4가지가 있는데, 양반 중인 상민 천민 이 네 가지가 있다. 이것만 해도 큰 틀이 잡혔어요. 그리고 이거를 그냥 눈으로 이제 읽고 넘어갑니다. 절대 외우지 마세요. 눈으로 그냥 읽고 넘어가요 다시 들어갑니다. 조선의 신분 구조로 갔는데 양천재를 아 양천재 그치 이런 거 있지 어 양인과 천인이라고 하는 게 있고 어 그렇지 그렇지 이런 게 있다.

05:11
이런 계층을 양반이라고 하구나 중인은 아 이런 계층이구나 상민은 요런 계층이구나 그냥 읽으시면 돼요. 이제 여러분 눈을 한번 감아보세요. 눈을 감아보시고 조선의 신분 제도가 2개가 있었고, 그리고 4가지의 계급이 있었는데, 그거 기억나시죠. 당연히 기억날 거예요. 어 근데 양반은 어떤 사람들이 양반이지 중인은 어떤 사람들이지 이게 이제 조금씩 궁금해집니다. 그래서 그냥 한번 읽어보고 자 두 번째 이제 가족 제도로 그냥 넘어갑니다. 가족 제도는 어떻게 있었을까? 재산을 상속을 하는 데 있어서 남녀 구별 없이 평등하게 재산들을 균분을 하고 상속을 했구나 여성의 지위도 아들 딸 구별 없이 태어난 차례대로 호적이 기재를 했구나 자녀들이 돌아가면서 제사를 맡았고 되게 남녀평등이 조금 이루어지는 시기구나 아들이 없을 경우에는 양자를 들이지 않고 딸이 제사를 그러니까 여성에 대한 지위가 조금 높아졌구나를 우리가 생각을 하실 수가 있는 거예요. 옛날에는 차별이 굉장히 심했잖아요.

06:07
근데 여성의 지위가 그러면 언제부터 높아졌냐 문제 나올 수 있겠죠. 그러면 여성 지위는 조선 전기 우리 가장 큰 틀이 조선 전기잖아요. 조선 전기에 높아졌다 너무 간단해요. 그래서 자 2번 가족 제도 끝났습니다. 자 3번 사회 제도 법률 제도 사회 시책 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을까? 민생을 안정시키고 의료 시설 이런 것들이 있었구나 그리고 4번 서원과 향약이라고 하는 게 이게 도대체 뭘까? 서원은 뭘고 향약은 뭘까? 그냥 이 내용들을 여러분들이 다 아실 필요는 없어요. 지금은 자 서원이 뭘까만 아시면 돼요. 이게 뭘까? 여러분 궁금하지 않나요? 조선 전기에 서원이 뭘까? 어 서원은 주세붕이 세운 백운동 서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사림의 여론 형성을 주도를 했다. 이 말이 좀 어려워요 그죠 그러면 여러분들이 사림이 뭔지 여론 형성은 뭔지 요런 것들을 개념을 아셔야겠죠. 그러면 이제 검색해 보면 돼요. 요즘에 뭐 채티피티 너무 잘 돼 있잖아요.

07:03
사림이 뭔지 이런 거 검색해 보는데 아 서원은 사림의 여론을 형성을 주도를 했던 그런 거구나 이런 생각을 하시면 돼요. 향약은 뭘까? 향약은 뭐지 이거는 어떤 것들을 향약이라고 그러는 거지 그거를 이제 아셔야 되는 거예요. 항상 물음표 그래서 향약이라고 하는 거는 지방 사림의 농민 지배를 강화를 했다. 사회 풍속 교화와 향촌 질서를 유지를 했다. 아 지방에 이런 질서들을 유지를 하고 사회 풍속을 조금 교화시키는데 이거 일조를 한 그런 기구구나를 생각을 하시면 되는 거죠. 여러분들이 서원이 뭔지 향약이 뭔지 요 정도만 알고 가시면 되는 거예요. 그리고 마지막 성리학 아 조선 전기에 성리학이 아까 발달돼 있다고 큰 주제를 얘기를 했었지 성리학이 뭔지 보니까 사림이 집권 이후에 성리학의 사회적 실천 노력 그리고 인간 심성에 관심을 가져 인간 본성에 관심을 가졌던 이 학문을 성리학이라고 하는구나 그래서 성리학의 대표적으로 이황과 이이가 있었구나 요 정도만 알고 가시면 돼요. 이거 처음부터 다 외우려고 하면은 여러분들 하나도 못 외웁니다.

08:03
자 다시 처음으로 갑니다. 자 조선 전기 신분 구조 어 우리가 그 정도 있었고, 가족 제도는 여성들이 이제 조금 사회적 지위가 높아졌다 사회 시책에서는 민생 안정과 그런 의료 시설들이 있었고, 법률 제도는 경국대전에 근거를 했다. 서원과 향약은 아까 뭐였죠 서원은 뭐였고 향약은 뭐였고 그리고 성리학이 발달을 했는데 성리학에서는 이황과 이이가 있었다. 이 짧은 시간에 여러분들이 이 내용들을 전체적으로 다 흡수를 다 했습니다. 그러면 조금 조금씩 더 상세한 포인트들을 궁금한 점들을 눈으로 더 읽고 암기를 하시는 거예요. 여러분들 여기서 되게 중요합니다. 지금 몇 분 안 걸렸어요. 우리가 하는데 몇 분 안 걸렸죠 이것들을 우리가 아마 책을 딱 덮잖아요. 책을 덮는 순간 한 2시간 3시간이면 이거 다 잊어 먹습니다. 여러분들 기억력은 그렇게 오래가지 않아요. 대부분 사람의 기억력은요, 1시간 뒤에 거의 다 모든 것을 잊어버립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 중요한 게 있습니다. 제가 알려드릴게요.

09:02
이거 진짜 중요합니다. 자 저희가 아까 조선 조선 전기의 사회에 대해서 공부를 했죠. 그리고 성리학에 대해서 공부를 했습니다. 그죠 우리가 이거를 예를 들어서 한 1시간 정도 공부를 했어요. 아침 9시에서 10시 정도까지 한 거예요. 이거를 공부를 하고 그다음에 과학 공부를 한 1시간 정도 했어요. 그러면 이거는 뭐 10시 30분에서 11시 30분까지 공부를 했어요. 자 우리가 여기서 가장 정말 키포인트가 뭐냐면 우리 기억력은 그렇게 오래가지가 않습니다. 3시간 정도면은 여러분들 기억은 다 안 나요? 1시간이면 50%가 사라지고 3시간 정도면은 정말 많이 기억이 안 납니다. 자 우리가 9시에서 10시까지 공부를 했죠. 그러면은 약 3시간 정도 있다가 이거를 한 30분 정도 한 2분의 1 정도 시간을 할애를 해서 복습을 해줍니다. 이해되세요. 그러면은 12시에서 이거를 한 30분 정도 우리 1시간 공부했으니까 30분은 복습을 해주는 거예요.

09:57
자 과학도 우리가 10시 반에서 11시 반까지 공부를 했죠. 이것도 3시간 정도 이후 30분 복습 1시에서 1시 30분 정도 복습을 해주는 거예요. 이게 너무너무 중요해요. 여러분들 기억력을 장기 기억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3시간 뒤에 우리가 짬을 내서 한 30분 정도라도 아니면 20분 정도라도 좋으니까 꼭 복습을 해 주시는 거 이게 너무너무 중요합니다. 자 그러면은 또 다른 과목을 또 공부를 하겠죠. 저희가 오후에 이제 복습을 했고 그럼 이제 2시부터 한 4시까지 수학 공부를 했겠죠. 수학 그러면은 이 내용들을 또 한 3시간 뒤에 우리가 2시간 공부했죠. 그러면 1시간 정도는 복습을 해줍니다. 5시에서 한 6시까지 요런 식으로 그리고 뭐 또 중간에는 휴식을 취하고 그래서 여러분들이 예를 들면은 내가 하루에 10 한 2시간 정도를 공부를 하는데 거의 적어도 처음에는요 한 6시간 정도는 복습하는 시간을 가져야 돼요.

10:57
6시간 정도는 이것도 너무너무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여러분들이 공부를 하실 때 큰 틀을 가지고 공부를 하시는 거 작은 틀은 그냥 눈으로 훑고 지나가면서 공부를 하시는 거 그냥 읽어 나가면 돼요. 그리고 세 번째 호기심을 가지고 공부를 하시는 거 그리고 네 번째 이렇게 복습을 한 3시간 정도 혹은 공부를 한 시점으로부터 3시간 이후 혹은 4시간 이후에 꼭 절반 정도 시간을 할애를 해서 복습을 해 주시는 거 이게 너무너무 중요해요. 제가 앞으로도 암기법이나 공부법이나 이런 것들을 계속해서 여러분들께 말씀을 드릴 텐데 오늘 내용은 너무너무 기본이 되는 것 중의 하나라서 일단 말씀을 다시 한번 드렸고 전에 제가 암기법 1번 올린 적이 있어요. 비슷한 내용이긴 한데 이게 모든 과목 모든 공부에 다 적용되는 공부법이기 때문에 계속 계속 제가 주입을 여러분들께 시킬 거예요. 이게 체화가 됐을 때 자연스럽게 그렇게 공부를 하게 되거든요.

11:49
그래서 이 영상은 중학생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성인 일반인분들 다 적용되는 공부법이기 때문에 오늘 영상 잘 메모를 해놓고, 기억을 하셨다가 공부에 꼭 적용을 해보시면 굉장히 도움이 되지 않을까? 그렇게 생각을 합니다. 여러분들 진짜 25년도인데 여러분들 목표하신 거 꼭 이 방법 응용하셔 가지고 여러분들 것으로 만드셔서 공부에 큰 도움이 되셨으면 오늘 영상 여기까지 할게요 안녕

728x90
반응형
posted by 아이윤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