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자 넘어가기 전에 하나만 짚는다 내가 여기다 이게 세모를 칠 거야. 자기야 니가 이제 그러나 하지만 나오면 좀 세모 치는 버릇이 있잖니 애한테 물어봐요. 왜 그러나 하지만의 세모를 쳤니 라고 물어보면 뒤에 내용이 강조됩니다. 부정할 수 없죠 다시 질문하는 게 이거야. 왜 뒤에 내용이 강조가 되니 그럼 대답을 잘 못한다고 그러니까 이게 왜 강조가 되는지를 잘 몰라 그럼 나랑 대화 좀 해보자 일로 와봐 처음에 제시되고 있는 걸 보면 상식적으로는 하고 시작하지 그러면 우리의 일반적인 상식 속에서는 이러하다 메스 이게 이제 영어가 신화라는 뜻도 있지만 이게 이제 통념이라는 뜻도 있어요.
00:49
자 이제 무섭죠 통념이 뭔지 또 몰라 통념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생각을 말해 통념이 제시되고 나서 그러나 너 좋아하는 거 하지만 이런 이제 역접의 접속사를 딱 던져놓고 진짜 내가 하고 싶은 말 플루스 이게 나오게 된다면 너는 이렇게 반응할 거야. 얘가 강조되고 있다는 것은 다 알고 있다고 이게 아마 영어 시간에도 들어봤을 법한 통념에 대한 반박 구조잖아요. 지금 그걸 가르치려는 게 아니고 이게 강조가 된다면 얘를 말하면 되잖아. 먼저 그러니까 이런 식의 복잡한 절차 없이 그냥 회의론에서는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말하면 될 것을 왜 굳이 이런 식으로 질질 끌었던 걸까 그랬더니, 어떤 친구가 이렇게 말해 한국말은 끝까지 들어봐야 되니까요? 내 말을 좀 끝까지 들어봐. 그게 아니고요.
01:49
내가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이건데 왜 이런 구조를 취할까 두 번째 왜 이게 강조된다는 것을 모국어 화자가 감각적으로 알고 있는 것일까? 여기에 대한 대답을 해줘야 돼요. 봐라 쓸 준비하셔야 돼요. 옆에 이거는 이제부터 법칙입니다. 그냥 주입하셔야 돼요. 머리에 뭔가가 함께 하고 있어요. 닥치고 연대 유대의 조화 뭐 조금 더 오바해보면 안정된다.
02:17
안정이란 단어까지 뭔가가 함께하면 연대유대의 조화 그냥 나오면 닥치고 연대유대조화 그럼 만약에 해봐 함께하지 않으면 어때 조화가 깨지죠 부조화 불화 이렇게 말해 그러니까 이거는 괜찮아 따라 해보자 함께하면 입 열어야 돼 함께하면 그렇게 하지 말고 함께하면 네가 선착할래 함께하면 함께하면 함께하면 연대유대 좋아 그냥 기계적으로 해야 돼 문학 가서도 그럼 함께 하지 않으면 어떨까 자 이제 여기가 조금 어려워 함께하지 않으면 괴리라는 단어를 쓸 거야. 내가 어떤 단어를 말로 하지 않고 칠판에 쓴다는 거는 엄청 중요하단 소리다 괴리라는 것은 무조건 두 가지 뜻으로 생각해야 돼 괴리감 해도 돼 첫 번째는 동떨어지다 지금 저 고3입니다. 이딴 소리 하지 말고 너 한국인 아니야.
03:15
두 번째는 어긋나다 괴리라는 단어는 수능에 10번 이상 나왔고 심지어 어휘 문제로도 나온 적이 있어 말해보자 니가 괴리란 단어를 들어본 것은 어디니 이상과 현실의 괴리 정도 있을 거 아니야. 이상이라는 건 지난주에도 했지만, 최종 지향점 주체가 생각했을 때 완전한 상태 그것과 현실 사이가 벌어져 있다면 괴리라고 할 거야. 근데 이거는 다 하는 거고, 내가 진짜 알려주고 싶은 단어는 이거야. 괴리란 단어는 평가원에서 어떻게 주로 나오냐면 이런 단어로 시험에 나오지 긴장감 자 그럼 이제 예시를 한번 들어보자고 긴장이라는 것은 왜 괴리라는 뜻 의미를 갖고 있는 걸까 이거 봐 괴리는 긴장은 이거야. 그지 동떨어지는 거고, 어긋나는 거야. 그러면 안정되어 있니 아니니 아니지 불안하면 긴장감이 유발되는 거야. 생각해봐 너 긴장이란 단어를 언제 쓰는 거야.
04:15
내일 아침에 전교생 앞에서 발표를 해야 돼 근데 긴장이 된다. 그래 왜 긴장돼 내가 평소에 맞닥뜨리는 상황과 내일 벌어지게 될 상황 그때 느끼는 감정 사이에 괴리감이 있기 때문에 긴장감이 있는 거야. 이해하시죠. 그죠 만약에 제가 수업을 막 이렇게 폼 잡고 하다가 갑자기 옷을 확 벗어요. 여러분 어떻게 하실 거예요. 어디서 괴리감을 느끼는 거야. 마스크를 번색해 봐 괴리감 긴장감이 느껴지지 그죠 그럼 긴장감을 높이는 이유가 뭘까요? 긴장감을 높이는 이유가 뭘까? 긴장감을 높이는 이유는 독자나 관객들로 하여금 주목을 이끌기 위해서야 이건 100%야 100% 그럼 가보자 너 이제 소설 할 때 많이 듣게 되겠지만, 갈등 관계 들어본 적 있죠. 뭐 갈등이란 단어 나중에 합시다.
05:09
갈등이라는 것은 기본적으로 괴리감을 전제해 그래서 시험에서 어떻게 되냐면 갈등 관계를 긴장 관계로 바꿔서 낸다고 동해죠 동해죠 응 서사니까 갈등 상황이 유발된다면 서사적 긴장감이 고조된다. 끄덕끄덕 완전 동의할 수 있어요. 그러면 긴장이 유발돼 갑자기 내가 뺨을 팍 때리죠 그럼 니네 다 주목하게 되어 있단 말이야. 왜 낯설기 때문에 그래 단어 잘 봐 낯설기 때문이야 엄청 많이 나온다 낯설기 때문이야 그러면 주목을 하게 되면 네가 여기를 쳐다보게 되겠지 그럼 내가 의도적으로 긴장감을 유발시킨 이유가 뭘까? 이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서야 끄덕여봐 괜찮아 말해보자 머리 한번 써보세요. 문학으로 한번 가봅시다 반어법을 생각해 보세요. 반어법이라는 것을 항상 예시로 뭐 잘한다. 뭐 이런 식으로 들으셨을 거예요.
06:02
그렇게 하면은 뉘앙스 판단이 어려운 텍스트에서는 좀 힘들어 축자적 의미 파악해 봐 반어라는 것은 반대로 말하고 행동하는 거거든. 내가 너를 좋아하는데 겉으로 속마음은 좋아해 겉으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해 그러면 니가 봤을 때 어때 괴리감이 유발되죠. 긴장감이 유발된다고 주목할 거야. 어 뭐지 좋아한다는데 왜 그래 아 좋아하지만 떠나보낼 수밖에 없다고 그래서 긴장감 유발에 따른 주목 강조야 그래서 반어법은 강조야 그냥 무식하게 반어법 강조 이렇게 하지 마시고 가능하지 그럼 시에서의 긴장감이니까. 뭐라고 하실래 반어적 어조를 활용해서 시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무조건 맞아 반어법만 찾으면 돼 역설법 빨리 국민 예시 패터 빨리 이것은 소리 없는 아우성 바로 나오죠. 유치환의 깃발이라는 시를 보는데 내가 보니까 소리가 나 소리가 나 근데 왜 소리가 없다.
06:59
그러지 괴리감 뭐지 아 그 정도로 절실하다고 그래서 역설법은 강조 왜 절실한데 잘 봐라 이거랑 어떤 게 더 절실한 느낌이 드니 후자죠 그래서 영화나 드라마 같은 데서 긴장감을 유발시키기 위해 의도적으로 무음으로 처리하거나 슬로우로 처리해 이것 때문에 이거는 뭐 복면가왕이나 이런 데서도 마찬가지잖아요. 맨날 슈퍼스타키 예시를 듣는데 미안하다 1등은 바로 심찬호입니다. 전혀 긴장감이 유발되지 않아요. 1등은 바로 바로 끌죠 그럼 사람들은 주목하게 돼 긴장감 유발 때문에 근데 그때 60초 후에 공개합니다.
07:57
이렇게 하면 광고 화면으로 전환하잖아. 왜 긴장감을 높이고 광고 화면으로 전환하지 그 광고에 주목하게 만들려고 그래서 첫 번째 광고는 판매율이 높아 항상 그래 어떤 느낌이 좋아 찬우야 사랑해 괜찮아요. 사랑한다. 찬우야 뭔가 어순이 위치가 전도됐어요. 도치 긴장감 유발 도치법 강조해 기본 메커니즘이야 가능하지 이거 봐봐 상식적으로는 우리가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세계가 존재 아 맞아 맞아 하지만 긴장 유발 강조 그러면 달바람 그냥 true 이걸 써도 될 것을 왜 이런 구조를 취했다.
08:46
여기를 강조하게 만들려고 주목하게 만들려고 친구야 이 구조를 기억하는 게 아니고 내가 너에게 주문하는 건 어떤 건데 글을 읽을 때 진짜 잘 읽는 독자는 이 뒤에 문장을 신경 써서 읽는다 이 소리야 그동안 너의 살아왔던 인생을 반추해 봐 너 그러나 하지만 세모는 열심히 쳤지만 뒤에가 중요하다 이런 건 생각 안 했을 거 아니야. 그래서 영어 배울 때도 자꾸 무식하게 하지 말고 나돈니 에이 벗 얼쏘 b 했을 때 왜 b가 강조인지 그러니까 이런 거를 좀 생각하면서 해보라고 알겠죠. 어
'영상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범위 공부하지 마세요. 다 안 봐도 합격합니다. (수험생 대표 김용재 '후배분들을 위한 조언' 1부) (0) | 2025.03.14 |
---|---|
도파민을 이용한 깜짝 놀라는 공부법 (0) | 2025.03.14 |
”만화책도 많이 보고 놀 거 다 놀았어요. 대치동 수천만 원 사교육보다 이게 낫습니다.“ | 서울대 3번 합격한 공부 끝판왕 의사가 말해주는 (0) | 2025.03.13 |
어떤 시험이든 박살낼 수 있는 암기법, 10분만 따라해도 암기효율이 3배이상 상승됩니다 (0) | 2025.03.13 |
현역 연세대 의대생의 특급 만점 공부법 (0)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