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C 사용팁'에 해당되는 글 529건
- 2019.02.15 :: 윈도우 디펜더에서 스파이웨어 검사하기 1
- 2019.02.13 :: win7 단축키 기능 소개
- 2019.02.12 :: 본인의 소유한 컴퓨터 성능 알아보는 사이트
- 2019.02.10 :: 윈도우 업데이트하기
- 2019.02.09 :: BitLocker로 드라이브에 암호 지정하기
- 2019.02.08 :: BitLocker 관리하기
- 2019.02.03 :: 윈도우 10, 야간 모드 사용하기
- 2019.02.02 :: [Windows 10] 윈도우 10 파티션 나누기, 합치기 정말 쉬워요
- 2019.01.23 :: VMware 가상머신 파티션 용량 늘리기- 윈도우
- 2019.01.20 :: 윈도우10의 msc 파일이 있는곳
윈도우 10에는 ‘윈도우 디펜더(Windows Defender)’가 포함되어 있어서 바이러스나 스파이웨어 같은 악성 소프트웨어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합니다. 윈도우 디펜더는 항상 시스템을 감시하고 있다가 악성 소프트웨어가 접근하려고 하면 사용자에게 그 사실을 알려줍니다.
윈도우 디펜더는 기본적으로 ‘실시간 보호’ 기능이 켜져 있어서 따로 실행하지 않아도 항상 사용자의 시스템을 검사하면서 스파이웨어나 바이러스가 들어오지 않게 합니다. 또한 윈도우를 자동 업데이트할 때 바이러스와 스파이웨어 목록도 함께 업데이트되기 때문에 최신 정보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설정] 창에서 [업데이트 및 복구] – [Windows Defender]를 선택하면 ‘실시간 보호’가 켜져 있을 것입니다.
이 화면의 맨 아래쪽에 있는 [Windows Defender 사용]을 선택하면 윈도우 디펜더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Windows Defender] 창의 [홈] 탭에서 [검사 시작]을 클릭하면 즉시 시스템을 검사할 수 있지만 이렇게 따로 실행할 일은 많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켜져 있는 ‘실시간 보호’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윈도우 업데이트만 꺼놓지 않으면 윈도우 디펜더를 통해 시스템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디펜더에서 바이러스나 악성 파일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것을 ‘정의 파일’이라고 합니다. 디펜더 정의 파일은 계속 최신 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윈도우를 업데이트할 때 자동으로 업데이트됩니다. 하지만 [Windows Defender] 창에서 [업데이트] 탭의 [업데이트]를 클릭하면 최신 정의 파일로 곧바로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PC 사용팁 > └Win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스템 보안 및 유지 관리하기 (0) | 2019.02.18 |
---|---|
윈도우 방화벽 설정하기 (0) | 2019.02.18 |
윈도우 업데이트하기 (0) | 2019.02.10 |
BitLocker로 드라이브에 암호 지정하기 (0) | 2019.02.09 |
BitLocker 관리하기 (0) | 2019.02.08 |
'PC 사용팁 > └Win7'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dows 7 Service 최적화 프로그램 (1) | 2019.02.26 |
---|---|
윈도우7에서 필요없는 서비스 종료하기 (0) | 2019.02.20 |
윈도우7 usb 설치 및 부팅디스크 만들기 (0) | 2019.01.01 |
윈도우7 파티션 나누기 : 파티션 분할 방법! (0) | 2018.12.30 |
컴퓨터 속도 빠르게 하는 방법 3 - 윈도우7 최적화 하기 (0) | 2018.12.30 |
1. 위 사이트에 접속하여 PerformanceTest 8.0 (old) 를 다운받아 설치한다.
2. 벤치마킹 프로그램 수행 결과
2-1. 시스템 전체 현황(본인 컴퓨터는 this computer이고 우측은 참고사항이다)
2-2. 전체성능
2-3. CPU성능
2-4. 그래픽성능(2D)
2-5. 그래픽성능(3D 3D게임)
2-6. 메모리 성능
2-7. 하드디스크 성능(SSD 성능우수)
3. 상기 테스트는 보유한 컴퓨터 성능을 파악 할 수 있습니다. 게임용 컴퓨터는 그래픽 보드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출처] 본인의 소유한 컴퓨터 성능 알아보는 사이트|작성자 옆에 행복이 있는데
'PC 사용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빠른포맷과 그냥포맷의 차이는 뭔가요? (0) | 2019.04.14 |
---|---|
윈도우 깨짐, 부팅 불가를 대비해 쉽게 복구 가능한 시스템 백업을 만들어보자! AOMEI Backupper (0) | 2019.02.18 |
VMware 가상머신 파티션 용량 늘리기- 윈도우 (0) | 2019.01.23 |
메인보드 제조사 별 부팅메뉴 단축 키 (0) | 2019.01.03 |
휠 마우스 사용법 (0) | 2018.12.29 |
윈도우 7이나 윈도우 8.1에서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할 때 ‘윈도우 업데이트’ 기능을 이용합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기능은 사용자 시스템이 최신 상태인지 계속 확인하면서 필요한 업데이트가 있을 경우 자동으로 다운로드해서 업데이트를 진행합니다.
수동으로 업데이트 확인하기
윈도우는 자동으로 업데이트되지만 직접 윈도우 업데이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정] 창에서 [업데이트 및 복구] – [Windows 업데이트]를 선택하고 [업데이트 확인]을 클릭합니다.
업데이트해야 하는 사항이 있을 경우 해당 내용을 표시하고 자동으로 다운로드합니다. 필자의 경우에는 윈도우 디펜더의 정의 파일을 업데이트하고 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방법 선택하기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0이 마지막 윈도우가 될 것이라고 공식적으로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계속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윈도우 10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수정할 것입니다. 또한 외부의 악성 소프트웨어를 방어하는 윈도우 디펜더도 윈도우가 업데이트될 때 새로운 바이러스 정보와 해결책을 가져올 것이므로 윈도우 10에서는 ‘윈도우 업데이트’ 기능을 항상 켜놓아야 합니다.
[설정] 창에서 [업데이트 및 복구] – [Windows 업데이트]를 선택하고 오른쪽 목록에서 [고급 옵션]을 클릭합니다. [고급 옵션] 창에서 업데이트 설치 방법을 [자동(권장)]으로 선택해야 최신의 윈도우 상태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Windows 업데이트 시 다른 Microsoft 제품 업데이트 검색]에 체크해야 윈도우 디펜더를 비롯해서 다양한 윈도우 앱의 기능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업데이트 기록 보기
자동으로 설치되는 윈도우 업데이트 파일은 나중에 확인할 수 있도록 따로 관리됩니다. 그리고 상황에 따라 업데이트를 취소해야 할 경우에는 업데이트 파일을 제거하기도 합니다. [고급 옵션] 창에서 [업데이트 기록 보기]를 선택합니다. 가장 최근에 설치된 업데이트 파일부터 시작하여 다양한 업데이트 파일들이 보이면 업데이트 날짜를 클릭하여 자세한 업데이트 내용을 확인합니다.
'PC 사용팁 > └Win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방화벽 설정하기 (0) | 2019.02.18 |
---|---|
윈도우 디펜더에서 스파이웨어 검사하기 (1) | 2019.02.15 |
BitLocker로 드라이브에 암호 지정하기 (0) | 2019.02.09 |
BitLocker 관리하기 (0) | 2019.02.08 |
윈도우 10, 야간 모드 사용하기 (0) | 2019.02.03 |
분실 가능성이 높은 노트북에 개인 데이터나 중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면 암호를 지정하여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BitLocker 기능을 이용하면 시스템 내부에 장착된 하드디스크에 암호를 지정하여 자료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단 암호화하는 데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고 암호 키를 잃어버리면 암호를 지정한 자료에 접근할 수 없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01[시작] 단추()에서 마우스 오른쪽 단추를 클릭하고 [제어판]을 선택하여 제어판을 연 후 [시스템 및 보안]-[BitLocker 드라이브 암호화]를 선택합니다.
02시스템에 연결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BitLocker가 켜져 있는지, 꺼져 있는지 표시되면 암호화하려는 하드디스크의 오른쪽에 있는 단추를 클릭합니다. 사용중인 드라이브가 나타나면 선택한 드라이브의 옆에 있는 [BitLocker 켜기]를 선택합니다.
03[암호를 사용하여 드라이브 잠금 해제]에 체크하고 ‘암호 입력’과 ‘암호 다시 입력’에 사용할 암호를 입력한 후 [다음]을 클릭합니다.
04암호를 잊어버렸을 때를 대비해서 복구 키를 보관해 두어야 합니다. 복구 키를 분실하면 드라이브에 있는 파일에 접근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가장 안전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므로 [파일에 저장]을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05[다른 이름으로 BitLocker 복구 키 저장] 대화상자가 나타나면 저장할 폴더를 선택하고 [저장]을 클릭합니다. 복구 키를 저장할 것인지 묻는 메시지 창이 나타나면 [예]를 클릭합니다.
06드라이브 전체를 암호화할 것인지, 사용하고 있는 공간만 암호화할 것인지 선택합니다. 새 드라이브이면 [사용 중인 디스크 공간만 암호화]를, 이미 사용중인 하드 드라이브이면 [전체 드라이브 암호화]를 선택하고 [다음]을 클릭합니다.
07드라이브를 암호화할 준비가 끝났으면 [암호화 시작]을 클릭합니다. 암호화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암호화 작업 창이 작업 표시줄로 최소화되면서 암호화 과정 도중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윈도우의 백그라운드에서 암호화가 실행됩니다. 암호화가 끝나면서 암호화가 완료되었다는 메시지 창이 나타나면 [닫기]를 클릭합니다.
08BitLocker가 켜진 저장 장치에 자물쇠 모양의 아이콘()이 추가됩니다.
'PC 사용팁 > └Win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디펜더에서 스파이웨어 검사하기 (1) | 2019.02.15 |
---|---|
윈도우 업데이트하기 (0) | 2019.02.10 |
BitLocker 관리하기 (0) | 2019.02.08 |
윈도우 10, 야간 모드 사용하기 (0) | 2019.02.03 |
[Windows 10] 윈도우 10 파티션 나누기, 합치기 정말 쉬워요 (0) | 2019.02.02 |
BitLocker 암호가 지정된 드라이브의 암호를 변경하거나 복구 키를 다시 백업할 수도 있고 BitLocker를 끌 수도 있습니다. 제어판에서 [시스템 및 보안] – [BitLocker 드라이브 암호화]를 선택하고 BitLocker가 켜진 드라이브의 옆에 있는 단추를 클릭하면 BitLocker를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명령이 나열되어 있습니다.
1복구 키 백업 : 이미 복구 키를 저장했어도 안전을 위해 추가 복사본을 만들 수 있습니다.
2암호 변경 : 암호화된 드라이브에 접근할 때 입력하는 암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3암호 제거 : BitLocker 잠금 해제에 사용할 암호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암호 입력이 드라이브의 유일한 암호 해제 방법일 경우 스마트카드나 PIN 등 다른 해제 방법이 있어야 암호를 제거할 수 있습니다.
▲ 암호 변경하기 ▲ 암호 제거하기
4스마트 카드 추가 : 스마트카드를 이용해 BitLocker 암호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5자동 잠금 해제 켜기 : 시스템에 고정된 데이터 드라이브를 암호화하면 윈도우에 로그인할 때마다 잠금 해제를 위한 암호를 입력해야 하는데, 자동으로 암호가 해제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6BitLocker 끄기 : 드라이브의 BitLocker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PC 사용팁 > └Win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업데이트하기 (0) | 2019.02.10 |
---|---|
BitLocker로 드라이브에 암호 지정하기 (0) | 2019.02.09 |
윈도우 10, 야간 모드 사용하기 (0) | 2019.02.03 |
[Windows 10] 윈도우 10 파티션 나누기, 합치기 정말 쉬워요 (0) | 2019.02.02 |
윈도우10의 msc 파일이 있는곳 (0) | 2019.01.20 |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분이라면 ‘블루 라이트’나 ‘청색광’이라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스마트폰 같은 화면에서는 ‘블루 라이트’가 방출되는데, 이런 블루 라이트에 오래 노출되면 눈의 피로가 심해지고 안구 건조증도 생긴다고 합니다. 게다가 밤 늦게 스마트폰이나 PC를 오래 들여다 보게 되면 블루 라이트로 인해 잠을 이룰 수 없다고도 하네요. 불을 모두 끈 상태에서 스마트폰 화면을 보는 것은 더욱 안 좋다는 것, 모두 알고 계시죠?
그래서 대부분의 스마트폰에서는 ‘블루 라이트’ 차단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본으로 제공하지 않는다면 블루 라이트 차단 앱을 깔아 사용하기도 하고요.
모니터 자체에서 눈의 피로를 줄여주는 모드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이제는 윈도우 10에서도 이제 블루 라이트를 조금이라도 줄여주는 “야간 모드” 설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저처럼 모니터를 오래 들여야 보는 분이라면 눈의 부담을 줄여주는 야간 모드를 사용해 보세요.
1. [설정] – [시스템] – [디스플레이]를 차례로 선택하면 오른쪽 화면에 ‘야간 모드’ 항목이 있습니다. 기본으로 ‘끔’으로 되어 있을텐데요, 이 항목을 클릭합니다.
2. ‘야간 모드 설정’을 클릭하면 야간 모드가 켜질 시간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밤의 색 온도 : 야간 모드로 바뀌면 화면 색이 약간 노란빛을 띄게 되는데, 이 항목의 슬라이드 바를 움직여 색 온도를 원하는 정도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 일몰부터 일출까지 : 바로 아래에 있는 ‘위치 설정’을 클릭해서 현재 위치를 잡아주면 일몰 시간부터 자동으로 야간 모드로 바뀌고 일출 시간이 되면 야간 모드가 해제됩니다.
- 시간 설정 : 야간 모드를 켜고 끄는 시간을 따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PC 사용팁 > └Win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tLocker로 드라이브에 암호 지정하기 (0) | 2019.02.09 |
---|---|
BitLocker 관리하기 (0) | 2019.02.08 |
[Windows 10] 윈도우 10 파티션 나누기, 합치기 정말 쉬워요 (0) | 2019.02.02 |
윈도우10의 msc 파일이 있는곳 (0) | 2019.01.20 |
윈도우10 시작메뉴 모든앱 폴더,프로그램 삭제하기 (0) | 2019.01.17 |
안녕하세요. 오늘은 윈도우 10 파티션 나누기, 합치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윈도우 10을 설치할 때 파티션을 나누지 않아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얼마든지 파티션을 나누고 또 합칠 수 있습니다.
♦ 윈도우 10 파티션 나누기
먼저 파티션 나누기 방법을 알아볼까요
윈도우 아이콘 우클릭 → 디스크 관리 클릭
파티션 나누기와 파티션 합치기를 할 수 있는 디스크 관리 화면입니다.
현재 C 드라이브 하나만 잡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PC 폴더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C 드라이브를 가지고 파티션 나누기를 진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디스크 관리 화면으로 돌아와서
C 파티션 우클릭 → 볼륨 축소 클릭
축소할 공간 입력에 새로 만들 파티션 크기를 입력하고 축소 클릭
입력한 크기만큼 새로운 공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새로 만들어진 공간 우클릭 후 새 단순 볼륨 클릭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여기서는 모두 기본값 그대로 다음을 클릭하면 됩니다.
다음 클릭
드라으브 문자 할당 선택 후 다음 클릭
이 볼륨을 다음 설정으로 포맷 선택
빠른 포멧 실행 체크
다음 클릭
단순 볼륨 만들기 마법사를 완료하였습니다.
마침 클릭
파티션 나누기 완료!
새 볼륨 E 파티션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PC 폴더에서 C 드라이브와 E 드라이브 두 개로 나눠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디스크를 몇 개라도 더 나눌 수 있습니다.
♦ 윈도우 10 파티션 합치기
이번에는 파티션 합치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C 드라이브에 방금 만든 E 드라이브를 합쳐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E 드라이브를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E 드라이브 우클릭 → 볼륨 삭제 클릭
이 작업을 실행하면 E 드라이브에 모든 데이터가 지워지므로 중요한 자료는 반드시 백업 후 진행해야 합니다.
예 클릭
E 드라이브가 사라지고 할당되지 않은 공간이 되었습니다.
이제 C 드라이브 볼륨 확장으로 할당되지 않은 공간을 합칠 수 있습니다.
C 드라이브 우클릭 → 볼륨 확장 클릭
**이렇게 생각하면 쉬워요.
볼륨 확장 = 파티션 합치기
볼륨 축소 = 파티션 나누기
볼륨 삭제 = 파티션을 합치기 위해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만드는 것
볼륨 확장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다음 클릭
확장할 디스크 선택 화면
다음 클릭
볼륨 확장 마법사 완료
마침 클릭
파티션 합치기 완료!
C 드라이브가 정상적으로 확장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 PC 폴더에서 다시 하나로 합쳐진 C 드라이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 환경에 맞게 파티션을 나누고 다시 합칠 수 있습니다.
'PC 사용팁 > └Win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tLocker 관리하기 (0) | 2019.02.08 |
---|---|
윈도우 10, 야간 모드 사용하기 (0) | 2019.02.03 |
윈도우10의 msc 파일이 있는곳 (0) | 2019.01.20 |
윈도우10 시작메뉴 모든앱 폴더,프로그램 삭제하기 (0) | 2019.01.17 |
[Windows10] 시스템 이미지(System Image)를 생성하는 백업 및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2/2》 (0) | 2019.01.13 |
VMware를 사용하고, 가상머신을 운영할 때 기존에 만들어놓은 파티션이 용량이 Full이 찰 경우가 있다.
서버를 재설치하기는 부담스럽고... |
이럴경우 윈도우 2008이나 윈도우 7이상인경우, Diskpart라는 명령어로 데이터 유실없이
온라인으로 파티션을 확장하는게 가능하다.
먼저 운영중인 서버입니다.
(40G, Windows 2008 R2 Standard)
현재 하드디스크는 40기가이고, C:\를 50기가로 늘리려고 합니다.
윈도우 2008 R2 Standard, 40G
vSphere Client로 가상머신 하드디스크 용량을 늘린다.
(기존 40G => 50G)
※ 단, 만약 스냅샷이 있으면 기존 스냅샷을 모두 삭제해야 함.
기존 40G => 50G 확장 후, 확인 버튼 클릭
디스크 확장 후, 윈도우 디스크 관리에서 새로고침(F5) 후, 50G로 확장 확인
10기가의 여유공간 확인
명령프롬프트 => diskpart =>
list volume (늘릴 볼륨 확인) =>
select volume 2 => extend
이렇게 하면 정상적으로 확장이 끝납니다.
기존 C:\ 50G로 확장됨~ ^^
VMware 가상머신 윈도우 파티션 용량 늘리기 완료~~
출처: https://blog.akionz.com/48 [아키온즈의 주절거림]
'PC 사용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깨짐, 부팅 불가를 대비해 쉽게 복구 가능한 시스템 백업을 만들어보자! AOMEI Backupper (0) | 2019.02.18 |
---|---|
본인의 소유한 컴퓨터 성능 알아보는 사이트 (0) | 2019.02.12 |
메인보드 제조사 별 부팅메뉴 단축 키 (0) | 2019.01.03 |
휠 마우스 사용법 (0) | 2018.12.29 |
alt 키로 마우스없이 주소입력하기 (0) | 2018.12.29 |
'PC 사용팁 > └Win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야간 모드 사용하기 (0) | 2019.02.03 |
---|---|
[Windows 10] 윈도우 10 파티션 나누기, 합치기 정말 쉬워요 (0) | 2019.02.02 |
윈도우10 시작메뉴 모든앱 폴더,프로그램 삭제하기 (0) | 2019.01.17 |
[Windows10] 시스템 이미지(System Image)를 생성하는 백업 및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2/2》 (0) | 2019.01.13 |
[Windows10] 시스템 이미지(System Image)를 생성하는 백업 및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1/2》 (0) | 2019.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