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소희 엄마는 전업주부다 남편은 에스대 출신의 대기업 임원이지만 소희 엄마의 학벌은 좋지 않다 소희 엄마는 아이 교육에 적극적이다. 온갖 사교육 정보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남들 하는 건 빼놓지 않고 다 시킨다. 하지만 소희의 성적은 점점 떨어졌고 작은 일에도 쉽게 분노하고 짜증내는 증상까지 보이기 시작했다. 사실 소희 엄마에게는 두려움이 있었다. 아이가 공부를 못하면 모두들 자기 탓을 할 거라는 두려움 많은 부모가 지능은 유전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이가 공부를 못하면 자신 때문이라는 생각에 아이를 더 다그친다 정말 성적은 지능에 달려 있을까? 이는 명백한 편견이다. 수많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적과 지능의 상관관계는 25% 정도다 부모가 공부를 잘하면 아이도 공부를 잘하던데요.
00:57
이렇게 묻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공부 잘하는 부모의 아이가 공부를 잘하는 것은 그렇게 태어났기 때문이 아니라 그렇게 길러졌기 때문이다. 공부 잘했던 부모는 은연 중에 공부를 잘할 수 있는 태도와 사고방식을 물려주고 공부를 못했던 부모는 공부에 대한 나쁜 태도와 사고방식을 물려준다. 부모가 공부하라고 닦달하면 아이는 부모에게 인정받기 위해 마지못해 공부를 하고 마음속 깊이 공부를 증오하게 된다. 절대 공부가 부정적 정서와 연관되어서는 안 된다. 성적 정서가 유발되는 순간 놀이든 학습이든 아이에게 극히 해로운 것으로 변한다. 공부는 되도록 좋은 기억과 연관되어야 한다.
01:42
그런데 지능과 성적 사이의 25%밖에 관련이 없다면 나머지 75%는 무엇이 결정할까 연세대 김조한 교수는 오랜 연구 끝에 공부를 잘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지능이 아닌 그릿임을 밝혔다. 그릿은 결과가 좋지 않아도 좌절하지 않고 꾸준히 나아갈 수 있는 능력으로 아무리 지능이 높아도 그릿이 없으면 성적을 올릴 수 없다. 그릿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소인 자기 조절력 자기 동기력 대인 관계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자 자기 조절력 훈련법 잘하는 과목에 집중하라 자기 조절력은 어려운 일을 견딜 수 있는 끈기와 집념을 말한다. 이것을 키우려면 자기 능력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한다.
02:40
우리 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은 아이들에게 단점을 보완하라고 요구한다는 것이다. 그러면 아이들은 자신이 단점투성이라고 믿게 된다. 못하는 과목이 아니라 잘하는 과목에 집중해야 더 효과적으로 성적을 올릴 수 있다. 아이가 잘하고 재미있다고 느끼는 과목에 집중해서 성적이 오르면 다른 과목도 잘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다. 반면, 못하는 과목에 집중하면 효과도 적을 뿐 아니라 공부해도 소용없다는 좌절감을 느끼기 쉽다 아이의 장점을 찾아내 아이에게 자꾸 알려주자 그래야 유능감이 생기고 자기 조절력이 탄탄해진다. 2 대인관계력 훈련법 편한전화를 기억하라 아이들이 그릿을 키우려면 뇌 과학적으로 편도체가 안정되고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이를 편한 전활이라고 부르겠다.
03:40
편한 전활해야 아이가 행복한 상태가 되고 아이가 행복해야 공부도 잘 할 수 있다. 편한 전화를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자기 긍정과 타인을 존중하는 타인 긍정을 배우는 것이다. 이 둘을 만족시킬 수 있는 쉬운 방법이 있다. 바로 감사일기를 쓰는 것이다. 누군가에게 감사할 때 자기 긍정과 타인 긍정이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아이에게 잠들기 전 그날 있었던 일 중 감사한 일 다섯 가지 정도를 떠올려 보고 각각 한 문장으로 짧게 적게 한다. 사건과 대상이 있어야 한다. 내게 이런 좋은 일이 있었는데, 그걸 해준 대상에게 감사하다는 요소가 들어가야 한다. 감사일기를 쓰며 하루를 돌이켜 보는 것만으로 편도체가 안정되고 감사한 일들을 하나씩 찾아냄으로써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된다. 감사일기는 자기 전에 쓰는 것이 좋다.
04:38
감사일기를 잠들기 직전에 쓰면 자는 내내 편도체가 안정되고 전전두피질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자기 동기력 훈련법 공부하라는 말을 하지 마라 성적을 높이려면 절대 공부하라고 다그쳐선 안 된다. 대신 공부에 대한 자율성 자기 동기력을 길러줘야 한다. 자기 동기력을 어떻게 길러줄 수 있을까? 아이가 미래와 현실을 연결시켜 생각하는 습관을 만들면 아이 스스로 동기부여를 하게 된다. 1단계 목표를 이뤘을 때의 기분을 상상해 보게 한다. 성적을 올리는 데 성공한 자신의 모습과 기분을 생생히 상상해 보는 것이다. 2단계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해야 할 일과 그 과정에서 참아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해야 할 일의 목록을 작성해 보게 한다.
05:36
3단계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세우게 한다. 이때 스스로 세운 계획을 얼마나 지켰는지 확인하며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일별 계획을 세워야 한다. 후에 해야 할 학습량을 구체적으로 적고 자기 전에 그날 지킨 것들을 지워보게 하면 좋다. 어려서부터 내 손으로 학업계획을 세우고 계획을 달성했다는 기쁨을 느끼면 자기 동기력이 저절로 자라난다 공부 잘하는 것을 뛰어넘어 성취 않은 어른으로 자라게 하고 싶다면 아이의 그릿을 키워 주자 흔들리지 않고 무엇이든 해내는 마음 근력 그릿 이 콘텐츠가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과 좋아요를 눌러주세요.
'영상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부 잘하고 싶어? 뇌를 속여봐 (20분이면 돼)""뇌가 멍청하다고? 그걸로 더 빨리 배우는 법""뇌 속여서 더 빨리 배우는 법 (0) | 2025.04.06 |
---|---|
책과 담쌓은 아이도 평생 책을 읽게 만드는 독서 습관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 (최승필 독서교육전문가 2부) (0) | 2025.04.06 |
"고액 과외도 이것만 못합니다" 학원 필요없는 똑똑한 아이 만드는 3가지 방법 (전 멘사회장 지형범 선생님 2부) (0) | 2025.04.05 |
공부 속도를 미친듯이 올리는 두뇌 향상법 (0) | 2025.04.05 |
이 2가지면 노벨상 수상자보다도 뇌를 잘 쓰게 됩니다. (똑똑해지는 법, 머리 좋아지는 법, 공부법, 암기법, 자격증 시험, 지능의 복리)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