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0
오늘 알려드린 두뇌 업그레이드 방법을 늘상 실천하신다면 하루하루 더 똑똑해진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연수남이에요. 현직 대학병원 교수예요. 오늘은 두뇌를 명석하게 만드는 5가지 방법론에 대해 다뤄볼 텐데요. 이 5가지 방법론을 실천의 두뇌를 업그레이드하고 공부 효율을 한층 더 끌어올리시길 바랍니다. 그럼 바로 들어가 볼게요 첫째, 마인드 다이어트를 한다. 우리가 건강한 음식을 먹은 만큼 우리 몸도 역시 건강해지는데요. 이건 우리 뇌에도 해당됩니다. 매일 뇌를 자극하는 무언가를 섭취해 보는 건데요. 평소에 읽지 않던 분야의 책을 읽거나 팟캐스트를 듣거나 오디오북을 들어보는 겁니다. 심지어 학교나 직장을 갈 때도 평소에 가지 않던 길로 가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새로운 자극은 뇌를 더욱 명석하게 만듭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외부 자극을 받고 있죠. 다른 사람의 말소리에 음악 소리에 책 읽기에 유튜브 보기 등 쉴 새 없이 내는 인풋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이때 하루에 5분 정도는 완전한 침묵 속에서 시간을 보내보는 건데요. 침묵은 지능을 높입니다.
00:58
이러한 침묵 속에서 생각을 정리하고 아이디어를 연결하고 새로운 생각을 떠올리는 연습을 해보는 거예요. 바로 이 과정 속에서 뇌 성장이 일어나는 것을 느껴보고 셋째, 불편함에 도전한다. 뇌는 편안한 영역이 아닌 불편함의 영역에 있을 때 성장하는데요. 한번 작은 불편감부터 시작해 보는 겁니다. 오른손잡이라면 왼손을 주로 써본다던가 평소 앉지 않던 자리에 앉아 본다던가 아니면 극단적으로 노력을 편함해 영역 이상으로 쏟아본다던가 이런 작은 변화들이 뇌를 놀라게 하고 적응력을 키워줍니다. 넷째, 호기심의 중요성을 무시하지 말자 두뇌 발달이 한창 일어나는 아이들은 왜 라고 묻는 것을 끊임없이 하는 것을 볼 수 있죠. 그게 바로 호기심의 힘인데요. 우리 나이대의 사람들은 왜 라고 물은 게 언제인지 기억도 잘 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오늘부터 하루에 한 가지씩이라도 왜라고 묻는 질문을 습관화 해보는 건데요. 꼭 정답까지 가지는 못하더라도 뇌는 탐구 그 자체를 즐기게 됩니다. 그 과정 속에서 뇌는 더더욱 발달하게 될 거예요. 다섯째, 배우고 가르친다 배움은 가르칠 때 한 단계 더 올라갈 수 있는 건데요. 새로운 지식을 배웠다면 누군가에게 가르쳐 보는 겁니다. 친구가 적절한 시기에 물어봐.
01:57
준다면 좋은 기회겠지만요 물어보는 친구가 없다면 가족들에게라도 아니면 백지라도 펴놓고 본인 스스로에게 가르쳐 보는 거예요. 장황한 내용을 키워드 위주로 간단히 설명할 수만 있다면 완벽하게 이해한 거라 볼 수 있고요. 뇌는 이 와중에 계속 업그레이드 될 것입니다. 이상 두뇌를 명석하게 만드는 다섯 가지 방법론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 영상 외에도 더 다양한 심화 공부법 영상과 성공 인사이트를 만나보고 싶다면 구독력 가입 버튼 눌러주시고요. 출간 즉시 자기계발 베스트셀러가 된 연수남의 첫 공부법 책 그리고 암기법 전자책을 만나보고 싶다면 고정 댓글란 또는 영상 설명란을 참고해 주세요. 그리고 연수남 가생 챌린지의 카톡방은 이벤트 종료 후에도 계속 운영 중이니 고정 댓글란 링크를 통해 자유롭게 참여해 주세요. 오늘 알려드린 두뇌 업그레이드 방법을 늘상 실천하신다면 하루하루 더 똑똑해진다는 것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이번 영상은 여기까지고요. 도움이 되었다면 구독과 좋아요. 알림 전체 설정 맞춰주세요. 감사합니당당
'영상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가 이 말 많이 할수록 아이 성적이 떨어집니다" 공부 못한 부모의 자녀가 공부를 못하는 진짜 이유 (0) | 2025.04.06 |
---|---|
"고액 과외도 이것만 못합니다" 학원 필요없는 똑똑한 아이 만드는 3가지 방법 (전 멘사회장 지형범 선생님 2부) (0) | 2025.04.05 |
이 2가지면 노벨상 수상자보다도 뇌를 잘 쓰게 됩니다. (똑똑해지는 법, 머리 좋아지는 법, 공부법, 암기법, 자격증 시험, 지능의 복리) (0) | 2025.04.05 |
기출 분석은 기테마가 정답입니다. (ft. 기테마 1.0 OT) (0) | 2025.03.18 |
10년째 말하고 있음. (0) | 202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