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indows 10 고급 부팅 옵션(안전 모드)진입하는 방법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보실 수 있습니다.
작업 방법 1. 안전 모드로 부팅
1. 로그인 후 시작 메뉴를 클릭하거나 키보드에서 Windows 로고키를 누릅니다.
[참고]
로그인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로그인 화면 우측 하단의 전원아이콘을 클릭한 후 Shift 키를 누른채로 '다시 시작' 을 클릭하고 4번부터 진행합니다.)
2. 화면에 나타나는 시작 메뉴에서 '전원'으로 이동하여 Enter 키를 누릅니다.
3. 화살표 키로 이동하여 '다시 시작'으로 이동한 후 Shift 키를 누른채로 Enter 키를 누릅니다.
4. 옵션 선택 화면이 나타나면 문제 해결을 클릭합니다.
5. 고급 옵션을 클릭합니다.
6. 고급 옵션 창에서 시작 설정을 클릭합니다.
7. 시작 설정 창에서 다시 시작 버튼을 클릭합니다.
8. 시작 설정 창이 나타나면 F4 키를 눌러 안전 모드로 시작합니다.
9. 이 후 증상을 확인합니다.
'PC 일반적증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cover My Files (0) | 2019.04.11 |
---|---|
부팅시 운영체제가 두개 나오는데 삭제하는 방법 (0) | 2019.01.09 |
윈도우 7에서 새로 만들기 --> 텍스트 문서 만들기가 없어 졌을 때 (0) | 2018.12.29 |
윈도우7 디스크조각모음 실행 작업스케줄러 서비스 오류로 안되는경우 해결방법 (0) | 2018.12.29 |
윈도우7에서 기본 연결 프로그램 등록이 안될 때 (프로그램 선택이 안되는 경우) (0) | 2018.12.26 |
'PC 사용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인의 소유한 컴퓨터 성능 알아보는 사이트 (0) | 2019.02.12 |
---|---|
VMware 가상머신 파티션 용량 늘리기- 윈도우 (0) | 2019.01.23 |
휠 마우스 사용법 (0) | 2018.12.29 |
alt 키로 마우스없이 주소입력하기 (0) | 2018.12.29 |
윈도우7,8,10 부팅속도 / 종료속도 향상 (0) | 2018.12.28 |
컴퓨터의 계정이나 암호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얼마전 댓글 상담으로 부족하여 직접 전화통화까지 하면서 문제 해결을 도와드린 경우처럼 원격 접속을 위해서는 필수이며, 업무용 기기 혹은 랩톱이나 윈도우 태블릿의 경우에는 꼭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윈도우10 계정 암호 설정
자신의 계정을 입력하고 그게 맞는 암호를 설정하는 방식은 예전부터 있던 형태로, 예전에는 제어판을 통해서 가능했지만 윈도우 10 암호 입력을 위해서는 '설정' - '계정' - '로그인 옵션'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내 메일 및 계정'에서 생성하면 되는데, 최근 들어 로컬이 아닌 마이크로소프트의 account를 사용하여 로그인하고 있어 다양한 기기에서 바탕화면이나 즐겨 찾기, 비번 등을 공유하여 편리하게 사용 중이다.
설정된 비밀번호는 '계정 암호 변경' 을 통해 바꿀 수 있고, 처음 컴퓨터를 켠 뒤 로그인 할 때 사용하게 된다.
물론, 마이크로소프트의 account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온라인상으로 접속하여 자신의 비밀번호를 바꾸도록 진행이 된다.
윈도우10 pin 암호 설정
최근 들어 비밀번호의 노출에 대한 다양한 우려들이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서버와의 통신을 통해 인증을 하는 방법은 보안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새롭게 도입된 방식이 pin 암호이다.
기존 방식이 암호 자체를 서버에서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면, pin 암호 방식은 각 기기에 등록된 pin(핀)을 통해 암호화된 인증서를 서로 확인하고 개인의 비밀번호는 네트워크로 전송이 되지 않아 한층 더 보안이 강화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4자리 숫자만으로 가능하여 영어와 숫자로 이루어진 기존 비밀번호로 인해 복잡한 로그인 절차를 조금이라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현재 모든 윈도우 태블릿 뿐만 아니라 데스크탑에도 적용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다.
윈도우10 사진 암호 설정
iOS나 안드로이드 태블릿의 사용이 많아지면서 화면을 터치하거나 패턴을 입력하여 비밀 번호를 해제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는데, 윈도우 10 사진 암호 설정은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작동하여 태블릿에서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로그인 옵션에서 사진 암호를 추가할 수 있으며, 원하는 사진과 나만의 패턴을 입력할 수 도 있다.
사진을 선택하여 현재 사진 사용을 선택하면 제스처의 크기, 위치, 방향, 순서를 내가 원하는 대로 화면에 그려 이를 암호로 사용할 수 있다.
제스처는 선, 원, 네모 등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화면 전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밀 번호로서 의 역할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이는 키보드가 없는 터치 식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윈도우 태블릿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기 쉽게 하는 효과가 있어 재미있게 사용할 수 방식이라고 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제스처를 그려 로그인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헬로우처럼 안면을 인식하는 기술도 있지만 이는 아직 대중화되지 않아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세가지 암호 설정 방법만을 정리해 보았으며, 굳이 온라인 계정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로컬 계정 만을 사용할 수도 있으니 안전을 위해 다시 한번 확인해 보는 것이 좋겠다.
[출처] 윈도우10에서 계정, pin, 사진으로 암호 설정하는 방법~|작성자 모이모이
'PC 사용팁 > └Win10'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10의 msc 파일이 있는곳 (0) | 2019.01.20 |
---|---|
윈도우10 시작메뉴 모든앱 폴더,프로그램 삭제하기 (0) | 2019.01.17 |
[Windows10] 시스템 이미지(System Image)를 생성하는 백업 및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2/2》 (0) | 2019.01.13 |
[Windows10] 시스템 이미지(System Image)를 생성하는 백업 및 시스템 복구 디스크를 만드는 방법《1/2》 (0) | 2019.01.13 |
윈도우10 usb 부팅디스크 만들기-iso 파일 포함 (0) | 2019.01.12 |